채팅기반 협업 툴인 슬랙이 크게 성공하면서, 글로벌 업무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페이스북은 각각 팀스, 워크플레이스를 내놓고 슬랙을 따라 잡겠다고 나섰다. 이런 분위기는 국내도 마찬가지다. 업무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스타트업은 물론 기존 기업용 소프트웨어(SW)업체들도 시장 잠재력을 보고 뛰어들었다. 이들 업체들은 국내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이메일을 대체할 새로운 업무 커뮤니케이션 툴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분명하다고 보고 있다. 아직 독보적인 강자가 없는 국내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장을 누가 차지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각양각색 국내 업무용 커뮤서비스 출격…”아직 대세는 없다” 한국의 슬랙이 되겠다고 나선 서비스가 많다. 이들은 모두 기존 그룹웨어와 이메일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업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라고 스스로를 소개하고 있다. 목표는 같지만 서비스의 핵심 콘셉트와 기능은 제각기 다르다. 스타트업 토스랩의 잔디는 채팅 기반 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다. 주제별로 토픽이라 부르는 단체 채팅 방을 만들면 그 안에서 대화와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잔디는 글로벌 성공을 거둔 슬랙과 서비스 콘셉트나 사용자인터페이스(UI)구조가 유사하다. 종합SW기업 이스트소프트의 팀업은 그룹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툴이다. 일반 SNS로 보면 밴드와 유사하다. 목적에 따라 게시판인 ‘그룹피드’를 자유롭게 만들고 글, 이미지, 동영상, 링크 등을 공유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왼쪽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잔디,팀업,큐브,그랩,콜라비,플로우 페이스북을 업무용으로 옮겨 놓은 것 같은 서비스도 있다.커뮤니케이션 솔루션 업체 크리니티의 ‘큐브’는 페이스북 같은 타임라인 기반 기업용 SNS 서비스다. 공유할 콘텐츠에 주제별로 태그를 달아 멤버들이 타임라인에서...
2017.08.23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개발기업 크리니티가 출시한 '큐브'(CUBE)는 타임라인 기반의 수평적 소통과 협업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다. (크리니티 제공)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개발기업 크리니티(대표 유병선)가 타임라인 기반의 수평적 소통과 협업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큐브'(CUBE)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큐브는 고객별, 상품별, 이슈별 주제 태그를 설정해 공유 목적을 설정하고 나만 보기, 팀 공유, 전사 공유 등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이메일 형태의 고객중심 UX/UI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일정, 게시판, 자료실, 메모, 할 일, 주소록 등을 개인과 업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일 연동, 구글 드라이브 연동, 지라 등 다양한 도구와 연동한다. 다양한 도구 가운데 적적한 것을 선택해 목적에 따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점이 큐브의 가장 큰 특징이다. 대다수 이메일 중심의 업무시스템은 개인용 도구로 주제별로 콘텐츠를 축적하며 함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이메일은 개인화돼있어 직원이 퇴사하거나 휴가를 가거나 역할이 바뀔 때 정보와 자료가 소실될 수 있다. 이메일을 업무에 활용할 때 비효율적인 보고와 회의를 피해갈 수 없으며, 함께 공유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호간 실수와 누락을 방지하기 어렵고, 후진을 위한 학습자료로 활용하기도 어렵다는 단점이 지적돼왔다. 게다가 최근 업무의 주체세력으로 떠 오르고 있는 디지털네이티브 N세대들은 이메일 보다는 메신저, 일정공유, 파일공유, 사진공유 등 다양한 소셜 도구들을 사용해 업무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지만, 기업 내 팀워크를 위한 업무 도구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있다. 큐브는 웹과 모바일로 이용할 수 있다....
2017.08.23